남궁영 (188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궁영은 1887년 전라남도 영암군 출생으로, 일본 유학 후 도쿄 제국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조선총독부 관리가 된 인물이다. 그는 진도군수, 함평군수, 충청북도 지사 등을 역임했으며, 1935년 퇴관 후 중추원 참의를 지냈다. 2002년 친일파 708인 명단,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으며, 2004년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의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1939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충청북도지사 - 장헌식
장헌식은 대한제국 관료와 조선총독부 사무관, 중추원 참의 등을 역임하며 친일 행위를 했고, 청주상업고등학교 교장을 지냈으며, 해방 후 공금횡령 혐의로 처벌받았으며,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충청북도지사 - 유만겸
유만겸은 유길준의 장남으로, 조선총독부 관료, 문경군수, 충청북도 지사 등을 역임했으며, 친일 행위로 인해 친일파 명단에 수록되었다. - 함열 남궁씨 - 남궁진
남궁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학생운동과 민주화 투쟁에 참여하여 신민당, 평민당, 민주당 등에서 주요 당직을 맡았고, 제14대, 15대 국회의원과 김대중 정부의 문화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햇볕정책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 함열 남궁씨 - 남궁영 (1962년)
남궁영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으로, 기술고시 합격 후 충청남도청 주요 보직, 행정자치부 정책기획관 및 대변인을 거쳐 충청남도 행정부지사, 도지사 권한대행을 역임하고 현재는 세종인재평생교육진흥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목포시 출신 - 강준만
강준만은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한 대한민국의 대학교수이자 언론인이자 저술가이다. - 목포시 출신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남궁영 (1887년) | |
---|---|
기본 정보 | |
한글 | 남궁영 |
한자 | 南宮營 |
가타카나 | 남구・용 |
인물 정보 | |
이름 | 남궁영 |
한글 | 남궁영 |
출생 | 1887년 |
참고 자료 | |
출처 | 1940 조선 47쪽 |
2. 생애
남궁영은 전라남도 목포 출신으로 1914년에 도쿄 제국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한 엘리트였다. 대학 졸업 직후 곧바로 조선총독부 소속 관리가 되면서 관계에 들어섰다.
이후 빠른 승진을 거듭하여, 1935년 총독부가 편찬한 《조선공로자명감》에 조선 통치에 공을 세운 인물 중 하나로 수록되었다.[3][4] 1934년 훈3등 서보장을 수여받는 등 1935년을 기준으로 정4위 훈3등에 서위되어 있었다.
1935년 관직에서 물러난 뒤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에 임명되었다.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 중 중추원, 도지사, 도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의 4개 부문, 2008년 공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중추원과 관료 두 부문에 포함되었다.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87년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태어났다. 1906년 일본으로 유학하여 구제 제1고등학교에 입학했다. 조선인 유학생 친목 단체인 대한유학생회에 참가했다. 1909년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에 입학, 1914년에 졸업했다. 도쿄 제국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한 엘리트였다는 평가가 있다.[3]2. 2. 조선총독부 관료 생활
1914년 도쿄 제국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한 직후 조선총독부 소속 관리가 되면서 관계에 들어섰다. "대학 나온 조선인 관리로서 최초로 칙임에 임명되었던 만큼 그의 수완은 정평이 나 있다."라는 인물평이 남아 있다.[3][4]1916년 총독부 내무부에서 근무[2]하였고, 1917년 전라남도 진도군 군수로 임명되었다.[2] 1919년에는 함평군 군수로 이동했다.[2] 1921년 조선총독부 학무국 사무관을 거쳐[2] 유럽 시찰을 다녀왔다. 1924년 조선총독부 식산국 농무과에서 근무했다.[2] 1926년 충청남도 참여관,[2] 1929년 경상남도 참여관으로 이동했다. 1930년부터 경상남도 산업부장을 겸임했고,[2] 경북 수산업 발전에 세운 공을 인정받았다. 1931년 충청북도 도지사가 되었다.[2] 1935년 관직에서 물러난 뒤 중추원 참의에 임명되었고, 구미 제국에 출장했다. 1934년 훈3등 서보장을 수여받는 등 1935년을 기준으로 정4위 훈3등에 서위되어 있었다.
2. 3. 사망
1939년(昭和 14年|쇼와 14년일본어)에 사망했다.[1]3. 친일 논란 및 평가
1935년 총독부가 편찬한 《조선공로자명감》에 조선 통치에 공을 세운 인물 중 하나로 수록되었다.[3][4]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 중 중추원, 도지사, 도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의 4개 부문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공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중추원, 관료 2개 부문,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2004년 대한민국에서 제정된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의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南宮營
http://encykorea.aks[...]
[2]
웹사이트
南宮營
http://db.history.go[...]
[3]
뉴스
‘조선공로자명감’친일 조선인 3백53명 기록 - 현역 국회의원 2002년 발표한 친일명단 일치 상당수
http://www.ilyosisa.[...]
일요시사
2008-06-18
[4]
뉴스
3백53명 중 2백56명 명단
http://www.ilyosisa.[...]
일요시사
2008-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